레이블이 명령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명령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linux #3 basic commands #2 (리눅스 - 기본 명령어 #2)

8) head, tail(기본 10줄)

- 텍스트 파일의 앞 10줄, 뒤 10줄 기본 출력하는 명령입니다.
- 형식

#head -line text
#tail -line text

#tail -f log_file (-f: file open,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)

9) more

- 장문의 텍스트 출력 시 사용합니다. 페이지 단위로 끊어 사용자에게 보여주고
 내부 명령을 이용하여 페이지 진행이 가능합니다.

#more text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Enter    : 한줄씩 이동
space    : 한페이지씩 이동
b        : 1페이지 뒤로
q        : 끝내기
/keyword : 검색
n        : 키워드 검색 후 연속 검색 지원

10) less

- more에 head나 tail을 섞은 모습입니다. (라인 번호를 적고 시작 가능)
- vi 편집기로 자동변환합니다.
- 잘 쓰이진 않습니다.

#less +10 a.txt

10) file

-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세부적으로 출력하는 명령입니다.
- 형식

#file /bin/ls
#file /etc/init.d/*

* = 메타캐릭터

11) 사용자 계정 추가 명령

1> useradd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#useradd [-d /user_home -m -s /bin/tcsh -u 1000 -g 1000 -G 10000] user
        -d  = 디렉토리
        -m = mkdir
        -s  = 쉘
        -u  = user
        -g  = maingroup
        -G = secondary group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

#passwd user (관리자만)

*shell - 명령줄

2> usermod  : /etc/passwd 사용자의 정보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.(useradd와 동일 옵션)
               (login name)          (directory)           (move)
#usermod -l new_account -d /new_account -m user
       
        usermod에서 -m은 mkdir이 아니라 move로 기존의 계정 디렉토리를 mv해줍니다.

3> userdel

#userdel account
#userdel -r account


*패스워드 관리

#passwd [-options] [user_name]
#passwd -l user_name (-l passwd locking)
#passwd -u user_name (-u unlocking password)

        *패스워드 변경 주기 관리

#chage [-option] user_name
#chage -m day user_name (-m min day setting)
#chage -M day user_name (-M Max day setting)
----> /etc/login.defs (여기서 설정해도 됩니다.)

12) 사용자 그룹 관리

1> groupadd : 사용자가 소속될 신규 그룹 생성합니다.

#groupadd -g GID new_group

2> groupmod : 존재하는 그룹의 이름 등의 정보 변경합니다.

#groupmod -n new_group group

3> groupdel : 그룹 삭제 시 사용합니다.

#groupdel group

*/etc/group

linux #2 basic commands #1 (리눅스 - 기본 명령어 #1)

1.시스템 레벨(Run level)

- 시스템 운영을 위해 시스템의 부팅 단계를 레벨로 표시합니다.
- 구분

0: poweroff
1: Single user mode
2: Multi user mode(CLI) commend line interface, 공유금지
3: Multi user mode(CLI) 공유가능
4: x
5: Xwindow multi user mode
6: Reboot


#init 0
#who -r  상태정보확인

2. man (On-line manual)

-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명령, 파일 등에 관한 메뉴얼 정보를 보여줍니다.

# man [options] [sections] argument

*section
1 일반 명령
2 System Call
3 Library ~.so
4 특수 파일
5 구성정보 파일
6 게임 메뉴얼
7 환경 설정(환경변수) path
8 관리 명령
9 커널 관련

# man section_no argument

# man signal   == 2번 System Call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
# man 7 signal == 7번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

# man passwd   == 1번 일반명령어 passwd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
# man 5 passwd == 5번 특수파일 passwd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

*최소 설치 시 또는 메뉴얼을 제공하지 않는 명령, 파일인경우 출력 없습니다.


3. 기본명령

1) ls(list)

- 작업 디렉터리, 대상 디렉터리 내의 파일 정보를 출력합니다.
- 명령 형식

#ls [-options] [file|dir]
#ls -l : -l long 파일이 가진 속성 정보 출력합니다. 
#ls -a : -a all 대상 디렉터리 내 숨김 속성을 갖는 파일도 출력합니다.
#ls -F : -F file type 파일의 타입 정보 4가지를 같이 출력합니다.
name/ - directory
name* - execute file
name@ - Symbolic Link
name  - file
#ls -i : -i index node 파일이 위치하고 있는 inode 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합니다.
#ls -lu: -u user(Access) time 파일에 접근한 시간 정보를 표시합니다.
#ls -lc: -c change time 파일의 속성 정보에 변경이 발생된 시간 정보를 표시합니다.
#ls -n : -n ID number 사용자의 ID를 표시 합니다.(ls -l에선 아이디와 그룹이 영어로 표시)

2) cd (change directory)

- 명령 형식

#cd directory

#cd       : home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#cd ..    : 상위 디렉토리 이동합니다.
#cd -     : 이전 작업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#cd ~     : home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
pwd(print working drectory): 현재디렉토리

3) touch

- 파일이 없을 경우 0kb파일 생성합니다. (체크포인트 파일 일부 백업할 때 씀)
- 존재하는 파일 및 디렉토리에 적용 시간 정보 변경합니다.
- log파일을 만들 때에도 사용합니다.
- 명령 형식

#touch [-options] file/dir

#touch newfile (0kb 파일 생성)
#touch exist_file (시간 정보 변경)
#touch -t [년도]월일시분.초 file    (원하는 시간으로 변경)

4) mkdir

- 명령 형식

#mkdir [-option] new_dir
#mkdir dir1 dir2 
#mkdir dir3/dir4 - 오류
#mkdir -p dir3/dir4 - 됨 : -p path 생성도리 디렉터리의 중간 경로가 없을 때 같이 생성합니다.

5) rm

- 파일 대상 명령으로 디렉토리는 삭제 불가능합니다.
- 명령 형식

#rm [-options] file|dir

#rm file1 file2
#rm -r dir3     (-r recursive : 디렉토리 내 파일에 rm 적용 후 최종 디렉토리까지 삭제)
#rm -i file3    (-i interactive : 지우기 전 사용자에게 질의) 
           --> 해당 기능의 강제적 사용을 위한 alias 설정을 해둡니다.

*alias 기능 (alias 별명='명령 -옵션')
*alias 별명 - 현재 설정 사항 확인 가능
*unalias 별명 - 해제

6) mv (move)

- 파일을 이동할 때 사용되는 명령입니다.
- 파일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.
- 명령 형식

#mv file|dir dir            (이동)
#mv file|dir new_name (이름변경)
#mv -i file dir              (이동 할 디렉토리 내 같은 이름이 존재 할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질의)

7) cat

- 짧은 텍스트 파일을 볼 때 사용합니다.(view 명령)
- 명령 형식

#cat [-option] text

#cat -n text  (-n : line Number 출력 텍스트에 라인번호 삽입)
#nl text (text 출력 시 라인번호를 포함하여 출력합니다.) (cat -n text와 동일)